티스토리 뷰

*** 본기사는 ciobiz.co.kr 에서 인용하였습니다.
[PLM메가트렌드④]제품개발 협업과 PDS
글로벌 제품개발 환경 구현 위해 개발 프로세스 재구성
2010년 10월 03일 (일) 21:27:50 류용효 PTC코리아 이사 yryu@ptc.com
 

세계 굴지의 선도적인 기업들은 각고의 노력을 통하여 기업 경쟁력을 높여 왔으며, 지금도 그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많은 제조기업들이 공급망과 전사적자원관리시스템 등 경영정보시스템 구축에 공을 들이고 있다. 그러나 제조기업의 기반은 제품에 있으며 제품개발력은 최고의 핵심 역량이다.

제조기업들은 글로벌 제품개발 환경에서 원활한 협업, 기업 전사 프로세스와의 통합을 지원해야 하며 PLM 시스템 구축에도 이러한 변화와 요구를 반영해야 한다. 차세대 PLM 시스템 개발의 메가트렌드에 대해 총 19회에 걸쳐 소개한다. <편집자 주>

“글로벌 제품 개발 환경에 의한 세 가지 주요 압력은 엔지니어링/설계 인재 활용(42%), 새로운 글로벌 경쟁 위협(41%), 직접 제품 비용(41%)이다.” - 애버딘 그룹

오늘날 제조업체들은 제품을 시장에 출시하기까지 전에 없던 도전적 상황에 직면해 있다. 제품을 설계하고 개발하는 과정에서 기술, 아웃소싱, 세계화 및 통합 작업은 새로운 기회의 창출에 초점을 두고 진행되어 오면서 새로운 복잡한 문제 또한 낳고 있다.

제품 개발에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게 됨으로써 혁신적인 설계를 만들고, 정보를 공유하며, 변경을 관리하기 위한 실질적인 솔루션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것이 바로 제품수명주기관리(PLM)가 필요한 이유이다.

PLM을 왜 해야만 하는지에 대한 답은 ‘투명성, 정확성’에 있다.

글로벌 제품개발을 하면서 SSOT(Single Source of truth)를 기반으로 한 투명성과 정확성이 확보되지 못한다면 글로벌 생산운영을 하는 상황에서 정확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더욱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만 제품 출시 이후 하자보증이 가능할 것이다. 즉 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제품을 출시함에 불구하고 품질이 확보되지 않으면 사용자로부터 외면을 당하기 쉽고, 그만큼 기업에 이윤을 남기기가 어려운 상황에 직면할 것이다.

더욱이 고객 요구 및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지속적인 제품의 복잡성 증대, 고품질 제품에 대한 고객의 끊임없는 요구, 규제 및 법규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제품개발 과정은 더욱 복잡해지고 있으며, 제품 라이프 사이클에 있어서의 기업의 책임도 무한 증대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글로벌 제품 개발의 도전과제=성공적인 GPD(글로벌 제품 개발) 실행을 극복해야 할 여러 과제가 있지만 무엇보다 성공적인 구현을 위해서는 제품개발 프로세스를 효과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적절한 기술 자원이 필요하다. 글로벌 제품 개발의 도전과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제품을 보다 신속하게 개발하면서 최소한의 실제 프로토타입으로도 제품에 대한 확신을 가질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 프론트 로딩을 통한 동시 제품 설계 및 프로세스 설계는 어떻게 달성할 수 있는가.
△ DABA(Design Anywhere/Build Anywhere) 프로세스는 어떻게 실현할 수 있는가.
△ 설계 재사용을 최대화 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 전자, 기계 및 소프트웨어가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설계가 모두 서로 잘 맞도록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PDS와 제품 수명주기에 따른 이동성

이러한 글로벌 제품 개발의 도전과제에 대하여 PDS(제품 개발 시스템)는 △신제품 △파생상품 △현지화 제품 △성숙기 제품의 글로벌 제품 수명주기의 단계에 효율적으로 대처하면서 의사소통이 되는 최적의 환경을 만들어줄 수 있다.

글로벌 제품 개발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세계 도처에서 이뤄지는 제품 개발 활동을 재구성해야 한다. 이는 두말할 나위 없이 위험을 줄이면서 수익을 극대화하는 데 목적을 두고 이루어져야 한다.

중요한 제품 개발 프로세스를 기업의 핵심 임무로 부합시키면서 위험을 감소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글로벌 제품 개발로의 이동은 혁명적이라기보다는 발전적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하룻밤 사이에 글로벌 모델을 도입할 수 있는 기업은 많지 않다.

글로벌 전환은 수년에 걸쳐 일어나며 시장 점유율, 수익성, 적기에 시장 진입함으로써 얻어지는 혜택들을 획득하기를 원하는 기업들에게 있어 글로벌 제품개발 협업은 효과적인 접근 방법이다.

애버딘그룹의 제품 설계 벤치마크에 대한 보고서에 따르면 제품개발의 글로벌화는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많은 제조업체들은 제품개발의 글로벌화에 가장 잘 들어맞게끔 프로세스를 변혁하고 제품들을 구조화하는 데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결과적으로 기업들이 자신들이 기대했던 투자회수를 현실적으로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어려움에 봉착하게 된다. 이러한 어려움은 많은 난제들을 극복해야 하는 과제를 떠안고 있다.

제조업체가 맞닥뜨리는 난제 공급업체가 맞닥뜨리는 난제
기업의 목표가 사업기회에 부합하는 공급망(Supply Chain)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어떻게 하면 고객과 공급업체와 효과적으로 제품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가 ?
지리적 거리와 팀을 넘나들며 제품개발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협업 환경을 활용해야 할까? 고객이 요구하는 다양한 형태의 CAD 데이터 포맷 및 설계 툴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은?
고객 각자의 서로 다른 프로세스와 부합하는 협업 환경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은 ? 공급업체에게 제공하는 지적 재산을 추적하고 보호하는 방법은 ?
제품 및 프로젝트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발전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 아웃소싱을 통해 이루어지는 설계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제품을 설계하는 방법은 ?
협업 공급업체와 효과적으로 제품 정보를 교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 공급업체와 공유하는 제품설계의 지적 재산권을 보호하는 방법은 ?
변화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면서, 공급망 전반에 걸쳐 효과적으로 협업하는 방법은 ?  
     글로벌 제품개발 협업에 있어서의 도전들: 제조업체 및 공급업체의 관점

글로벌 제품 개발의 도전과제를 극복하고 성공확률을 높이기 위해 아래와 같은 다음의 7가지의 접근 방법을 활용한다면 근본적인 개선 방향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① ‘방법(how)’과 씨름하기 전에, ‘이유(why)’를 이해한다.
② ‘제품(product)’뿐만 아니라 ‘프로세스’를 생각한다.
③ 파트너를 참여하도록 만들어 일찌감치 기대치를 설정한다.
④ 성숙의 단계를 설정하고, 차근차근 그 단계를 밟아간다.
⑤ 업무 관행을 규정짓기 위해서는 꾸준한 접근이 필요하다.
⑥ 해당 기업의 제품 아키텍처(Product Architecture)를 고려한다.
⑦ 변화의 형상관리(Configuration Management)를 준비한다.

◇글로벌 제품 개발의 접근 방식=PLM은 기업이 아이디어에서 단종에 이르는 수명주기 전 단계에서 효율적으로 정보를 관리하고 원활하게 의사소통 및 공동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요구사항과 기능을 제공하는 솔루션이다.

고객의 요구에 따라 시장에서는 세 가지 주요 PLM 접근 방식을 사용한다.

①여러 개별 응용 프로그램을 결합한 시스템
②전사적자원관리(ERP) 응용 프로그램의 기능을 확장하여 만든 시스템
③PDS(제품개발 시스템)와 같이 모든 제품 콘텐츠에 대한 단일 저장소를 기반으로 구축된 통합 시스템

  개별 응용 프로그램 제품개발 시스템 확장 ERP
PLM 제반 기술      
완벽한 PLM 기술 구축 아니오 아니오
통합 데이터 모델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아니오
인터넷 아키텍처 아니오
상호 운용성 복잡하고 불확실함
프로세스
완전한 PLM 프로세스 지원 단편화됨 불완전/트랜잭션 지향
검증됨 아니오 아니오
PLM 전문성 핵심 비즈니스 아님
인력
예측 가능한 구현 아니오 아니오
신속한 채택 아니오
요약
총 소유 비용 높음 낮음 보통
위험 높음 낮음 보통
비즈니스 가치 보통 신속/지속 가능 낮음
         PLM 접근 방식에 따른 주요 항목별 비교표

다음 회에서는 PDS 중심으로 어떻게 하면 효율적인 글로벌 제품 개발로 접근할 수 있는지 자동차 산업의 예를 들어 알아보고자 한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