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본기사는 ciobiz.co.kr 에서 인용하였습니다.
[PLM메가트렌드⑥]제품개발 경쟁력을 위한 프로세스 개선
최적화된 제품개발 프로세스와 제품개발 시스템이 주는 현실적인 가치
2010년 10월 04일 (월) 19:45:37 류용효 PTC코리아 이사 yryu@ptc.com
 

세계 굴지의 선도적인 기업들은 각고의 노력을 통하여 기업 경쟁력을 높여 왔으며, 지금도 그 노력은 계속되고 있다. 많은 제조기업들이 공급망과 전사적자원관리시스템 등 경영정보시스템 구축에 공을 들이고 있다. 그러나 제조기업의 기반은 제품에 있으며 제품개발력은 최고의 핵심 역량이다.

제조기업들은 글로벌 제품개발 환경에서 원활한 협업, 기업 전사 프로세스와의 통합을 지원해야 하며 PLM 시스템 구축에도 이러한 변화와 요구를 반영해야 한다. 차세대 PLM 시스템 개발의 메가트렌드에 대해 총 19회에 걸쳐 소개한다. <편집자 주>

지난 회에서는 자동차 산업의 예를 들어 제품개발 프로세스의 최적화와 제품개발시스템(PDS), 제품수명주기(PLM) 시스템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최적화된 제품개발 프로세스는 제품을 신속히 출시해 시장 선점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제품의 적기 출시도 가능케 한다. 하지만 글로벌 제품개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해결되어야 할 과제가 있다.

분산된 설계 작업을 수행하는 것과 기업 전체로 확장된 공동 작업 확대, 안전한 데이터 공유, 복잡한 프로그램 관리, 전체 라이프사이클의 변경 관리, 확장 가능한 성능의 활용성 등이 그것이다.

각각의 과제는 다시 당면하는 세부적인 도전 과제들이 있다. 각 과제의 현안과 최적 해결 방안, 주요 이점들은 표를 참조하기 바란다.

   
글로벌 제품개발 환경 조성을 위한 6가지 과제

◇완제품 업체뿐 아니라 부품 공급업체도 만족=제품개발 프로세스에 최적화된 제품개발시스템은 자동차 부품 등 OEM 업체들의 만족도도 높여줄 수 있다. 하만베커 오토모디브 시스템즈의 제품 엔지니어링 담당 부사장인 요아힘 코빈저는 “PDS 구축으로 자동차 통신 시스템 개발 프로젝트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 기업에서는 회사 안팎의 모든 프로젝트 구성원이 최신 프로젝트 데이터를 즉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향상된 기능은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제품 개발상의 지연을 방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 PDS를 사용해 서로 다른 현장의 제품 개발 팀들이 글로벌 프로젝트에 대한 공동 협업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베바스토AG의 베른트 괼니츠 CIO는 “고객이 점차 다양한 브랜드와 플랫폼을 포함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함에 따라 공동 협업 작업이 매우 중요해졌다”고 설명했다.

베바스토AG는 PDS로 인해 고객이 요구하는 품질을 제공하기 위해 업계 표준을 도입할 수 있는 능력이 강화됐다고 보고 있다. 이 점은 경쟁이 매우 치열한 자동차 업계에서 성장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것이다.

토요타 레이싱의 데이비드 커리어 P.E.선임 관리자는 “PDS는 1995년 이후 우리 회사의 설계, 개발 및 제조 프로세스의 핵심”이라며 “전동 장치 개발을 위한 최고 수준의 PDS는 인디레이싱 리그, NASCAR 크래프츠먼 트럭 시리즈(NASCAR Craftmon Truck Series) 및 우리의 상업용 애프터마켓 성능 제품을 위한 강력한 경주용 엔진 설계를 지원한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제품 개발에서 최대 가치 실현=결론적으로 많은 제조업체들은 전략과 일상 작업을 연동하는 데 어려움을 겪음으로 인해 우수한 제품으로 실현하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우수한 계획이 제품 성공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려면 특정 가치 기회를 파악한 다음 그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가장 직접적인 경로를 찾아내야 한다.

전 세계의 성공 기업들은 글로벌 제품 개발 시스템 로드맵을 사용하여 기업 전략과 제품 개발 프로세스 개선 작업을 그 어느 때보다 간단하고 명확하게 연결함으로써 기업 전략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고 있다. 주요 가치 실현 효과는 아래 표와 같다.

   
글로벌 제품 개발 시스템의 가치

즉, PLM을 구성하는 3가지 요소인 사람(People), 프로세스(Process), 기술(Technology)은 SSOT(Single Source of Truth)를 통해 조화를 이룰 때 최적의 글로벌 제품 개발 환경을 확보할 수 있다.

제품 혁신을 위한 아디다스그룹의 PLM 전략

아디다스는 그룹사 가운데 리복에만 적용하던 PLM을 지난해부터 전 그룹사로 확대 적용했다. 도입한 PLM 패키지는 일반 소비재 산업에 특화된 PTC PLM 패키지로, 윈칠 플랫폼 기반 ‘플랙스(Flex) PLM’이다.

아디다스그룹은 지난 2002년 처음 PLM 패키지를 이용해 리복에 글로벌 제품개발 관리와 단일 제품정보 기반의 PLM 시스템을 처음 구축했다.

아디다스그룹은 전 세계 개발 정보의 표준화를 위한 ‘싱글프로덕트마스터(Single Product Master)’ 전략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솔루션 도입을 검토해오다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ERP 기반의 마스터제품관리(MPM, Master Product Management) 패키지를 도입해 제품 정보 표준화 프로젝트를 추진했지만 결국 한계를 극복 못하고 2009년 다시 기술검증(POC) 절차를 거쳐 PTC 윈칠 패키지를 최종 선택했다.

   
아디다스그룹의 글로벌 제품 개발 적용 사례  <자료 : PTC 유저 월드 2010>

버로우스 CIO는 “시스템은 단순하게 구성하는 데 주력했으며, 최대한 표준화와 최소한 커스터마이징 원칙 하에 패키지의 아웃오브더박스(OOTB) 기능을 최대한 활용했다”면서 “오랫동안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보다 3~6개월 단위의 짧은 구축과정을 통해 단기적인 성과를 도출해가며 프로젝트를 추진했다”고 말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